Vue 개발 환경 및 절차
vue.js 개발 시나리오에 대한 내용을 설명 드립니다.
로컬 개발환경 구성
코드베이스 복제
깃랩에서 해당되는 소스 코드 저장소로 이동합니다. (할당되지 않은 저장소에는 접근 할 수 없습니다.)
프로젝트 | ID | 저장소 |
---|---|---|
상담어드바이저 | ADV | /ccaas/adv/service-adv /ccaas/adv/ui-adv |
콜봇 | CB | /ccaas/cb/service-cb /ccaas/cb/ui-cb |
대화엔진 | CE | /ccaas/ce/service-ce /ccaas/ce/ui-ce |
지식관리시스템 | KMS | /ccaas/kms/service-kms /ccaas/kms/ui-kms |
품질평가 | QA | /ccaas/qa/service-qa /ccaas/qa/ui-qa |
상담분석 | TA | /ccaas/ta/service-ta /ccaas/ta/ui-ta |
사용하시는 git 클라이언트 도구를 활용 하시거나 git 명령으로 clone 합니다.
아래 명령의 {project-id}
는 각 담당 프로젝트의 id로 치환 해야 합니다.
git clone https://haiv.timbel.net:48443/ccaas/{project-id}/service-{project-id}
cd service-{project-id}
README.md
복제된 소스 코드에서 README.md
파일의 내용을 숙지하세요.
내용 안에서 환경 구성 테스트
섹션에 있는 부분을 실행해 주세요.
...
src/view/template/dTemp/index.vue XXms
src/view/template/dTemp/index.vue XXms
src/vite-env.d.ts XXms
와 같이 성공을 확인 하세요.
개발 시나리오
업무 확인
슬랙을 통해 전달 받은 기획서에서 업무 분장된 내용을 확인하세요.
feats-*
브랜치
개발 시작하기 전에 git origin 에서 Fetch(or Pull)을 실행하고, main
브랜치 기준으로 새로운 feats-*
브랜치를 생성합니다.
커밋
아래의 명령어를 진행후에 커밋하시기 바랍니다.
명령어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커밋을 진행하는 경우 ESlint 혹은 Prettier의 변경사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pnpm lint-format
커밋 형식은 시작하기 - 커밋 메세지 포맷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커밋 주기는 짧게 진행 하시기 바랍니다. 예를들면, 각 레이어 별로 커밋을 하거나 코드 파일 하나를 기준으로 커밋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.
푸시
- 충돌 상황은 적절히 코드를 살피고 당사자와 조율해서 해결 하세요.
feats-*
나fixed-*
기준에 맞추지 않은 브렌치 이름은 푸시가 안돼요.- 푸시 상황은 슬랙으로 통보 됩니다.
이슈
- 깃랩으로 이슈가 작성되고, 슬랙으로 통보 됩니다.
- 이슈를 확인하고 정리한 후 반드시
Close
해주세요.
✨ 기능수정
오류로 접수된 내용을 수정한 상세 설명 close #12
위와 같은 close #12
키워드가 메세지에 포함되면 12번 이슈가 close 됩니다.
뿐만 아니라 fix #12
, fixed #12
, issue #12
, resolve #12
등등도 동일하게 동작 합니다.
fixed-*
브랜치
기능 개발이 완료 된 후에, 이슈가 등록 되면 fixed-*
브랜치를 생성해서 이슈를 처리하는 코드를 작성합니다.
이후 절차는 시나리오의 시작부터 반복 진행 합니다.
CI/CD (Jenkins)
푸시가 발생되면 Maintainer 권한자가 main 브랜치로 병합을 실행하고, 그때 배포 프로세스가 진행됩니다.
배포 결과도 슬랙으로 통보 됩니다.